바칼에서 패황 키우고있는 유저입니다.

23년 8월에 패황 상향이 있었고, 그거에 맞춰서 유입이 혹시라도 있을까봐 공략을 썼었는데, 지금은 1년 가량 지나기도 했고 장비 메타라던가 융합석이라던가 많이 바뀌었기 때문에 갱신하고자 한번 써보려 합니다. 가끔 챈에 패황 키워보려는 사람들 있더라고...



겜안분 검증입니다. 연접일 끊김;

23년 8월에 공략글 쓸때 1600억이었는데, 10배 가까이 올랐네요

딜 인플레 어떻게 잡을지 궁금합니다 정말


1. 패황의 캐릭터 스펙

무기 : 권투글러브

방어구 : 경갑

스탯 : 힘, 물공, 퍼센트 데미지

크리티컬 확률 : 26% (패시브 급소지정 마스터)

쿨타임 감소율 :  34% [=15%(화염의 각)+19%{권투글러브의 기본 10% + 권투글러브 사용가능 9%(복리)}]

스킬 마나 소모량 감소율 : 최소 79% (110레벨기준 1각패시브 효율적인 연소 마스터)


패황은 전용 무기인 권투글러브를 사용하고 기본 쿨감이 상당이 높으며, 마나 과소모 수저라고 부를만한 마나 소모량 감소율 패시브까지 보유한 나름대로 이것저것 유니크하게 갖춘 캐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패황의 특징은 아래 몇 가지로 분류 가능합니다.


1) 높은 쿨감율, 고르게 분포된 스킬들의 딜지분

위의 스펙에서 서술했듯 남스커는 약 30%의 쿨감율을 보유한 직업입니다. 하지만 쿨감이 베이스로 깔린 직업이라 스킬들의 기본 쿨타임이 조금 길게 책정되어있는 편이고 여타 몰빵캐릭들처럼 쿨감 몰빵으로 주력기를 4회 찍을 수 없습니다. 몸 여러번 비틀어봤는데 안됩니다. 가끔 낙화 4회 되는지 물어보는 사람들 있더라고요.



(아라드 아이돌 쑤남의 딜표입니다. 불가침 유저를 제외하고 찾다가 넣었습니다.)

위처럼 딜지분 높은 상급 무큐기의 횟수는 아무리 땡겨도 3회가 한계입니다.

그 말은 반대로 80제, 95제의 3회를 찍기 수월하다는 겁니다. 벌써부터 던담딸 이야기하는거같지만 40초 딜링의 75, 80, 95제의 3회는 채널링이 없다시피한 패황에게 실전에서 박기 어려운 횟수는 아니며 국룰 쿨감부위 챙기다 보면 자연스럽게 가능합니다.

안개신 나오고 25초딜로 메타가 바뀌긴 했어도 그건 그거대로 채널링 짧고 딜을 금방 우겨넣을 수 있는 패황에게 또 유리합니다.


위 이유로 패황의 템세팅은 한 스킬 몰빵 커스텀보다는 공용 옵션으로 모든 스킬의 데미지를 골고루 상승시키는 템세팅이 주류입니다. (ex. 엔정하 3540, 딥다팬 75 80, 엔정신 7580의 채용 x)


2) 캔슬 직업

남녀스커들의 아이덴티티인 머슬 시프트입니다.

스킬 사용 도중 캔슬해서 다음 스킬로 연계할 수 있고, 순보가 강화된 섬보를 보유함으로서 딜링 중 회피나 위치선정이 유연합니다.

작년 패치로 캔슬해야만 딜 증가를 받는 캔슬 강제화 직업에서 벗어나 기본 스증량으로 치환되었기 때문에 캔슬에 부담감을 가질 필요도 사라졌습니다. 스킬이 박히기 전에 캔슬해서 날려버릴 정도만 아니라면 저같은 똥손도 커맨드로 무난히 사용 가능한 캐릭이 되었습니다.


3) 기타 유틸


위에서 서술했듯 마나소모량 수저이기 때문에 최근 말이 나왔던 장기전에 딸리는 마나를 대비한 설경 어깨같은 아이템을 채용하지 않아도 마나가 안 딸립니다.


기본적으로 슈퍼아머라는 스킬을 보유하고 있어 상시 슈아 상태이며, 격노도 필요없고 슈아 융합석도 필요 없습니다. 더군다나 1렙만 찍어도 지속시간이 60초에, 머슬 시프트 캔슬을 하면 자동으로 지속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상위 컨텐츠에서 계속 캐스팅해서 갱신할 이유도 없습니다.


이외에 다단히트가 부족해서 커스텀 옵션을 터뜨리기 힘들다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그런 조건부는 다 없어졌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패황에게 유일하게 남은 문제는 타점뿐인데, 안개신 레이드도 몹이 적당한 크기로 나와줘서 크게 문제될 게 없었습니다.


2. 스킬트리


1) 진각 채용 스킬트리 (크라우치 채용)

eJwljTsKwkAABeet2awfCGhWxVZQkUAOkE7QPmDpFcQDSDor0UtoaWvvffx0djYa9cEwMM17GmcqK8IZiASLzlQvKEUhqiGDlqiJHDqhHA3wfeqeikgD0gyNqC+wD/QmiRnPGU8ZTuj2pAKt8Vfad6IbLa9GLNdRsMEcvm9uizvi9tgd9oWNwrJm5PznMT8vSwp4fgA+FhX2


2) 진각 미채용 스킬트리 (크라우치 미채용)

eJwtjTsKwkAABedFN6sRApqVYCuoBCEHSCdoH0jpFYIHkFxA9BJa2tp7Hz9dKm00oA+G6ebVnvVaG/wViASDLnRSdEU+6qIS9ZFFZ5SjCW5M4JBI26QZmhGsMR/mTxSRFCRLpgvikVRht8QPwhvDOwOnXiR7oonZPWaHPWCOmBd6Y0K/ec/I+c39XTZUUH8BDs8WUA==



(스킬트리 복사해서 넣어보는건 해봤는데, 스킬 스타일이 나뉘어져 있어도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안되면 말좀...)

스킬트리는 어디까지나 개인 취향이지만 몇 가지만 특이점만 짚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저는 안개신 3페에서만 진각을 사용하고 나머지 컨텐츠에선 진각을 빼고 게임하는 편입니다.


1) 크라우치


tp 레벨당 무적시간 0.2초를 부여하는 크라우치는 짤패턴 피하기 정말 용이한 국밥 스킬입니다.

저도 해르고가 최종 컨텐츠일 때는 정말 애용했지만 요즘은 잘 안 쓰고 있습니다.

진각 채용 트리는 크라우치가 들어있는데, 예전에 불현듯 극딜 빌드깎다가 수정 안한 상태라 그렇습니다.

크라우치를 빼거나 채용하려고 한다면 남는 스포로 찍은 비연선풍이나 스핀킥 쪽에서 조정하시면 됩니다.

tp도 2가 남아서 몹몰이용 비연선풍에다 그냥 넣었기 때문에 그거 빼서 크라우치에 넣으세요.

패황은 라댄이 쿨도 짧은데 딜링+무적기의 역할을 하고 있고, 안개신에서 크라우치의 중요성을 크게 못 느껴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극딜탐은 또 프리딜이잖아요?

있으면 편한데 없다고 죽는 패턴이 있는 건 아니라....나중가서 전체 스펙이 상향평준화되어 로페즈를 짤딜로 넘기는 정도의 인플레가 오면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2) 비연선풍

이 스킬의 아이덴티티는 몹몰이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비연선풍에 스킬 포인트를 투자하지 마세요.

요즘 스킬 범위를 챙기기 매우 간편해졌기 때문에 더더욱 남는 스포로 찍는 보람이 생겼습니다.


3) 섬격

30제 스킬인 섬격은 순간이동 판정과 유도 판정이 있어 백섬보 이후 타점 조절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움짤처럼 약간의 y축 유도까지 가능하며, 몹한테 딱 적당하게 붙어주기 때문에 타점 문제없이 다시 딜링하기 편합니다.

이동기로도 쓸 순 있지만 이동 경로에 몹이 있다면 그 앞에 멈추기 때문에 잘 생각하며 사용해야 합니다.


순간이동이기 때문에 스카사 2페 오른쪽 방 이동 패턴의 막혀있는 벽 같은 것도 넘을 수 있습니다.



콤보 도중 방향전환도 자유자재로 가능한 스킬입니다. 때리다 몹을 넘어가 버렸다거나 할 때 섬보를 쓰거나 섬격으로 부드럽게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4) 섬보

패황은 순보를 캔슬해서 사용하면 순보의 쿨타임이 초기화되는 패시브가 있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보통 빠른 이동을 위해 사용하거나 딜링 도중 타점 수정을 위해 백섬보-섬격 순으로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몹 덩치가 크면 백섬보만 한번 써줘도 때리기 편해집니다.


5) 질풍각, 홍염질풍각

질풍각은 공중에 떠 있는 판정이고, 홍염질풍각은 떠 있는 판정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룡과 광룡, 테르미누스의 지진같은 패턴을 질풍각으로 피할 수 있습니다.

근데 홍염질풍각은 아니기 때문에 짤딜중에 홍질로 지진 피하려 하면 쳐맞습니다. (점프나 백스텝으로 체공중에 사용하면 괜찮습니다.)

왜 다른지는 저도 모릅니다.


6) 이중개방


패황의 1각 액티브는 변신기인 화염의 각이지만 로그의 실버 스트림과 동일하게 전용 액티브 스킬이 따로 존재하며, 진각링크는 이 스킬과 연동됩니다. 80제나 95제에 단 한번의 강력한 추가타가 들어가는 스킬이라 따로 채널링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진 각성을 하면 스킬 사용 도중에 언제든지 켤 수 있습니다.

80제나 95제가 혹시나 빗나갔더라도 이 강화 공격은 증발하지 않습니다.

어떤 스킬에 넣어도 퍼뎀은 동일하니 95제에 넣으려고 스트레스 받지 않아도 됩니다.


7) 진각

메타가 25초로 바뀌었으니만큼 극딜탐 진각의 유무는 크기 때문에, 각성기가 그렇게 강하지 않은 패황도 진각을 채용할 이유가 생겼습니다. 스킬스타일이 두 개라면 상황에 맞게 바꿔가며 쓰시면 좋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다음 컨텐츠 메타가 공개되기 전까지는 진각을 채용하고 게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진각채용시 링크는 기본적으로 이중개방이지만 2각을 해도 됩니다.

이중개방은 채널링이 없다는 것, 2각은 이중개방보다 조금이나마 딜적 우위에 있다는 점이 차별점입니다. 


8) 헥토


정말 안타까운 이야기지만, 헥토는 쓰지 마세요. 퍼쿨도 구린데다 강제이동, 라댄에 밀리는 탈리스만 효율 등 애물단지 스킬입니다.  몹과 가까이 붙어서 딜링하는 패황의 특성상 코앞에서 내지르면 타격도 못하고 그대로 통과하기 때문에 백섬보를 섞는 추가 공정이 필요한데 멋있을진 몰라도 성능은 멋있지 못합니다.


3. 탈리스만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헥토는 던파캣 필터로 단 20명이 사용중입니다.

탈리스만은 낙화, 아토믹 캐넌, 라이트닝 댄스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룬은 75제 낙화를 추천드리지만 80제가 횟수 동일하게 찍히다 보니 80플티칭호에 아토믹 룬을 끼시는 분들도 있는데, 이것 또한 취향의 영역이기에 원하시는 쪽으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 탈리스만 특이사항


낙화 탈리를 사용하면 머슬시프트로 캔슬 시 앞으로 내딛는 동작이 사라집니다.

옛날에는 질풍각-낙화로만 썼었지만 탈리스만 출시 이후로는 아무때나 넣어도 괜찮습니다.


라댄 탈리를 사용하면 추적 스킬이 되며, 근처의 몹에게 순간이동하여 타격합니다.

남스커의 라댄은 몹몰이 기능이 있고 주력 딜링기 중 하나이기 때문에 헛발질을 방지해주는 이 옵션은 매우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템세팅

1) 출혈tp

tp출혈세팅이 주류가 된 이후론 패황 역시 tp출혈세팅이 가장 보편적이고 강력한 세팅입니다.

안개신 무기 업그레이드는 화무기 추천합니다. 금무기를 올려도 되지만 패황 특성상 속도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동기는 섬보가 해결해주고 공속이 너무 빠르면 스킬이 씹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본인이 너무 답답한 게 아니라면 스증높은 화무기로 가시면 됩니다.

불가침 무기는 4스증 기준으로 수무기 업글이 가장 딜쿨비가 좋습니다.

스킬 범위가 늘어난다고 타점이 길어지는 건 아니니 주의하세요



엔정하 옵션은 3540등의 특정 레벨 스킬 스증보다는 공용옵으로 맞추는 게 더 좋습니다.


커맨드 사용이 가능하다면 엔정어를 채용하셔도 되는데, 비무큐 기본기를 3개 주력으로 사용하고 딜지분도 어느정도 먹기 때문에 비무큐 스증옵을 함께 채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던파캣 어깨 채용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인의 세팅 현황에 맞춰 잘 비교하시면서 착용하세요.


2) 마나 과소모

패황의 경우 기본기의 딜비중이 꽤 되기 때문에 tp신 효율이 높아 tp신을 채용하는 출혈 세팅이 주류이긴 하지만 마나 수저 패시브를 활용한 마나과소모 세팅을 하신 분들도 있습니다.

고밸류 커스텀인 엔정하가 출혈 특화 + tp신 사용가능이라 던담딜로는 출혈이 가장 높긴 해도 과소모 커스텀 짬통으로 키워도 무방한 정도입니다.


세트장비는 착용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던담딜 기준으로는 상급 무큐기와 기본기의 횟수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맨땅 시작일때 커스텀 전 육성 단계에서 배터리로 살 수 있는 세트를 끼다가 한 부위씩 교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최종 목적지는 커스텀인 것을 잊지 마세요.


패황의 각성기는 구린 편에 속하기에 혹시라도 각성기 세팅은 예능용이 아니라면 추천하지 않습니다.


※무기 스위칭 관련


안개신 패치 전, 결전과 근원을 함께 사용하는 결근 스위칭이 패황 고인물들 사이에서 유행했었는데, 커빈카보 불가침 유저도 10초딜링만은 결전극딜이 살짝 우위일 정도로 실전성 있는 플레이였습니다.

안개신 레이드 등장 후 당장 무기 두 개를 동시에 성장시키기는 어려운 관계로, 현재 스위칭은 하지 않는 중입니다.

더군다나 막 유입된 사람들이 무기를 두 개나 성장시키고 강화해야 한다는 말을 들으면 기겁하는데, 했을 때 고점이 약간 올라간다 뿐이지 필수인 수준은 아니라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상관 없습니다.

그래서 결전과 근원 중에 뭘 써야 되냐고 물어보면 저는 근원 추천드립니다. 안개신 업그레이드도 부조화가 아닌 화무기로 올리세요.


5. 융합석




아스라한 융합 전에는 방어구는 이런 식으로 착용하되, 신발은 취향따라 가시면 됩니다.

이속이 필요하다면 포식, 뎀감이 필요하다면 격노, 크리가 딸린다면 뇌광 끼세요.


아스라한 융합석은 속도가 필요하면 대지, 속도가 굳이 더 필요하지 않다면 설경, 범위 조건부 충족량이 모자라면 열화 몇 부위를 채용하는 식으로 자유롭게 셋옵 맞춰서 조정하면 됩니다.



범부가 되어버린 어둑섬 융합석은 딱히 가릴 거 없이 아무거나 착용해도 상관 없습니다. 금방 110제로 갈아탈 수 있는 메타가 되어버려서...

마나가 딸리는 캐릭이 아니기 때문에 고도 악세를 채용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110제 융합석은 tp신과 블파귀 조건 충족을 위해 팔찌 범위증가 융합석을 착용하고, 나머지는 뜨는대로 쓰면 됩니다.




쿨감 융합석은 개인 세팅에 맞춰 던담에 넣어보시고 채용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패황은 기본기 한번한번이 전체딜에 영향을 꽤 미치는 편입니다.


6. 보조 특성

던파캣 특성 채용율입니다.


장특은 맹공 또는 보호를 사용하되, 강력한 일격과 명상은 본인 상황에 맞춰 변경하시면 됩니다.

패황은 상시 슈퍼아머이기 때문에 맹공은 왼쪽으로 찍으면 되고, 보호는 링크 해제쪽으로 가시면 됩니다.

스킬 쿨이 짧아 순환이 빠르고 기본기를 자주 사용하는 패황 특성상 맹공 스택은 상시 풀스택이라고 보면 됩니다.


7. 아바타, 엠블렘

머리 : 캐속

모자 : 캐속

얼굴 : 공격속도 or 내성

목가슴 : 공격속도 or 내성

상의 : 화염의 각

하의 : 피맥

벨트 : 속저

신발 : 힘

레어 무기 클론 아바타 : 75레벨or80레벨 (룬과 플티로 맞춘 스킬 레벨링을 하시면 됩니다.)


붉은빛 엠블렘 : 힘

노란빛 엠블렘 : 공속 or 힘(이벤트)

녹색빛 엠블렘 : 물크 or 힘+물크

푸른빛 엠블렘 : 이속

딜플티 : 머슬시프트

여스커 키우시는 분들이 급소지정 딜플티냐고 물어보시는 경우가 있는데 남스커는 머슬시프트가 딜플티입니다.

엔정성 모속저가 필요하신 분들은 적당히 모속저 엠블을 이곳저곳에 박아넣으시면 됩니다.


8. 운용법


https://youtu.be/Y19lH6OUHrY?si=FvytfqtxPfnOzWku

익시드를 다 돌아버려서 4개월전 찍었던 해방라르고 영상 하나 투척하고 마무리하겠습니다. 현재 패황과 플레이 스타일은 다르지 않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패황 유저가 적어서 그런지 가끔 인게임 우편으로도 보내시는 분들 있더라고요.

긴 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