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우스 설 구라임" 이라는 동시에 은근슬쩍 "유대-그리스도교가 복지종교의 시초임!!!"이라는 거짓나부랭이를 퍼뜨리는 예수천국 불신지옥을 주장하는 이들이 있다.


그런데 진짜 그리스 신학적으로 제우스가 고아에 대해서 별 의미가 없었을까?


"αυτά είναι η περιφρόνηση του ικέτη, το κακουργείν στους ξένους, το διαφθείρειν την του αδελφού γυναίκα το αμαρτάνειν περί τα ορφανά, το υβρίζειν τους γέροντες γονείς. Γιατί με καθετί παρόμοιο, λέει, ο Ζεύς, “αγαναχτεί”, δηλαδή τα μέμφεται & επιφέρει την τιμωρία. Μνημόνευσε, μάλιστα, ιδιαιτέρως τον Ζευς, επειδή σε αυτόν απέδιδαν όλες τις παρόμοιες προσωνυμίες, αποκαλώντας εκείνον Ικέσιο ως έφορο των ικετών και Ξένιο ως προστάτη των ξένων, Ομόγνοιο[17] ως τον φύλακα των συγγενών και των προς των ομόγνοιους καθηκόντων."


번역을 좀 해보자면


"이것이 곧 거지를 멸시하는 것이요 , 낯선 사람을 해롭게 하는 것이요 , 자기 형제의 아내를 망령되게 하는 것이요 , 고아를 죄짓는 것이요 , 늙은 부모를 욕되게 하는 것이니라." 제우스는 모든 것이 비슷하기 때문에 "분노"하신다고 말합니다. 즉 그들을 꾸짖고 형벌을 내리신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는 제우스를 구체적으로 언급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그를 청원서의 대표로 이케시우스, 낯선 사람의 보호자로 제니우스(제노포비아 할 때 그 제노~~가 맞다), 친척의 수호자로 "호모제니우스" 라고 부르며 호모제니우스에 대한 의무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또한 이 논제에 대해서 결정적인 내용이 나오는데,


Έτσι τον έλεγαν και Κηδεμόνα όσων ζούσαν στην ορφάνια, θεωρώντας εκείνον πατέρα όλων, ακόμα και όσων δεν είχαν ποια ανθρώπινους πατέρες, και βοηθό των αδικημένων εκ των παιδιών τους.

"그들은 그를 고아 시절에 사는 사람들의 수호자라고 불렀으며, 그를 모든 사람의 아버지, 심지어 인간 아버지가 없는 사람들의 아버지, 자녀 중 부당한 사람들의 조력자로 여겼다."


해당 내용은 고대 그리스 당시 인물인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분명히 수록되어 있다. (sch.327-335.1)



결론: 제우스가 고아의 수호자로 신봉받았다는 것이 구라라는 것이 구라다. 심지어 근거가 1세기 로마 철학자가 아니라 기원전 600년대의 그리스 작가 헤시오데스다.


결론:



대 우 스


참고한 사이트 


근데 이거 왜 쓰냐고? 그리스-로마 덕후거든